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기업의 AI 도입 및 활용 확대를 위한 정책과제
구분
산업자료
분류
산업/기술일반
저자명
최민철, 송단비, 조재한
출처
KIET 산업연구원
작성일
2021.04.08

○ 새로운 성장 모멘텀으로서 AI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의 AI 도입은 소수에 그침.

 

○ AI를 이미 도입한 기업은 관련 기술투자·지출을 확대하며 다양한 분야에 활용
- 산업연구원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AI 도입 기업은 AI의 다양한 기능(자동화 운영, 전망 및 예측분석 등)과 여러 분야(제품·서비스 개발, 판매·물류관리 등)에 활용 

 

○ AI 도입·활용의 애로사항은 인력·자금·기술 확보와 기업 내·외부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복합적으로 존재
① 기술 도입과 계획 단계에서 석사 이상 전문인력(특히 소프트웨어·모델 개발 분야) 확보의 어려움, 자금 부족, 내부 장비 인프라 부족을 주된 문제로 인식
② 기업 내부환경에서는 조직역량 부족 및 투자 대비 낮은 수익이 주요 애로사항
③ 외부환경에서는 시장의 불확실성과 개인정보 관련 법적 규제가 주된 문제 

 

○ 기업의 AI 도입과 활용 과정에 상존하는 복합적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 수단 필요
① AI 전문인력 부족 해결을 위해서는 석사 이상 전문인력 양성이 핵심이며, 특히 소프트웨어·모델 개발 분야의 인재 육성 정책 보완·확대 긴요
② 기업의 내부환경 개선을 위해 AI 도입·활용에 필요한 자금 부담 완화와 연구개발 및 활용사업에 대한 지원 확대 필요
③ AI 투자 유인 제고, 인프라 확충, 개인정보 관련 규제 개혁 등 기업의 외부환경과 제도적 기반 개선 필요

첨부
iKIET-105호_기업의+AI+도입+및+활용+확대를+위한+정책과제(최민철_송단비_조재한).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