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KIET 산업동향 브리프 2022년 12월
구분
경제자료
분류
국내경제
저자명
KIET
출처
KIET 산업연구원
작성일
2023.01.02

Ⅰ. 해외 경제 동향

• 미국은 10월 생산 감소와 소비 확대 등 실물지표들의 혼조 속에 체감지표들과 선행지수의 동반 하락세 등이 이어지면서 경기 둔화 우려감이 고조

-연준은 11월 FOMC 의사록을 통해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을 시사한 데 이어, 파월의장도 긴축 완화 시점의 도래 가능성에 대한 의사를 표명

• 일본은 9월 중 실물지표들의 혼조세 속에 경기선행지수가 급락세를 보이고, 유로존도 역내 실물지표들의 혼조세 속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사상  

최고치

-일본은 3분기 실질GDP가 내수 둔화와 무역적자 확대 등의 영향으로 2분기 만에 마이너스 성장률(전기비 -0.2%)을 기록하고, 유로존은 독일과

프랑스 등 주요국들의 소폭 성장으로 인해 전기비 성장률이 0.3%로 하락

• 중국은 10월 생산과 투자 등 기업활동 지표들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소비가 5개월 만에 감소세를 보인 데 이어 수출도 2020년 5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

-중국 인민은행이 7개월 만에 지급준비율 인하(-25bp)를 결정(11월 25일)한 가운데 중국 내 주요 대도시 지역에서 코로나19 관련 새로운 방역 완화

조치들을 공표


Ⅱ. 국내 실물 경제

• 10월 전 산업 생산은 서비스업이 2개월 연속 감소(-0.8%)하고, 광공업이 4개월 연속 감소하면서 전월비 감소폭 확대(-0.4% → -1.5%)

-광공업 생산이 기계장비(-7.9%) 등 다수 업종에서 감소함에 따라 전월비 감소폭(-1.9% →-3.5%)이 확대되고, 서비스업 생산은 금융ㆍ보험(-1.4%),

정보통신(-2.2%) 등이 감소하면서 0.8% 감소

-소매판매는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전월비 3.1%) 판매가 전월비 증가세를 보인 반면에, 승용차 등 내구재(-4.3%)와 의복 등 준내구재(-2.5%) 판매가

동반 감소세를 보인 여파로 인해 2개월 연속 감소세(-0.2%)

-설비투자는 선박 등 기계류(전월비 1.9%)는 증가한 반면 운송장비(-5.0%)가 3개월 만에 감소하면서 보합을 보이고, 건설기성액(불변)은 건축(3.9%)

과 토목(3.3%) 공사 실적이 증가하면서 3.8% 증가

-동행종합지수는 광공업생산지수, 내수출하지수는 감소했으나, 수입액, 건설기성액 등이 증가해 전월비 0.2% 증가하고, 선행종합지수는 건설수주액,

코스피 등은 감소했으나, 기계류내수출하지수, 재고순환지표가 증가해 전월비 0.2% 증가


Ⅲ. 주요 산업별 동향

•제조업 생산은 자동차(22.8%)와 기타운송장비(16.0%), 기계장비(5.7%) 등이 증가세를 유지한 반면, 전자부품(-26.3%), 1차 금속(-18.5%),

화학제품  (-13.2%) 등이 감소세를 이어간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1.1% 감소

-공업구조별로는 제조업ICT에서 감소세(-6.1%)가 이어지고, 중공업(-1.0%)과 경공업(-1.9%)에서 모두 감소세로 전환

-전월비 기준으로도 기타운송장비(5.5%), 통신ㆍ방송장비(1.9%), 반도체(0.9%) 등 일부 업종을 제외하고 의약품(-10.1%), 기계장비(-7.9%), 자동차

(-7.3%) 등 다수 업종에서 감소함에 따라 4개월 연속 감소하며 감소세 확대(-3.6%)

•제조업 생산능력은 반도체와 자동차, 통신ㆍ방송장비 등의 업종에서 상승한 반면, 전자부품과 기계장비, 식료품 등의 업종에서 상당폭의 감소세를

보이면서 전년동월비 0.8% 감소, 전월비 기준으로는 0.2% 감소

-제조업의 재고/출하 비율(재고율)은 122.1%로 전월에 이어 0.7%포인트 상승하고, 재고-출하 순환도는 재고 증가폭이 축소(9.2% → 4.6%,    

계절조정치 전년동월비)되고, 출하 증가폭 역시 축소(2.8% → 0.4%)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2.4%로 전월에 이어 전월 대비 2.7%포인트 하락


Ⅳ. 지역별 동향

• 10월 전국 산업생산은 전년동월비 1.1% 감소

-부산(22.6%), 대구(9.0%), 경남(8.8%) 등에서 상대적으로 생산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서울(-11.3%), 전남(-9.8%), 충북(-4.6%) 등이 감소


Ⅴ. 산업 포커스

• 2023년 13대 주력산업 수출은 주요 수출국 물가 상승 및 통화긴축 기조 유지, 세계경제 성장률 둔화 여파로 자동차(2.5%), 조선(42.4%), 이차전지

(17.3%), 바이오헬스(6.5%)를 제외한 대다수 산업에서 부진하여 2022년(7.7%)보다 4.0% 감소한 5,179억 달러 전망⋅13대 주력산업 수출액:

(2021년) 5,012억 달러 → (2022년) 5,397억 달러 → (2023년) 5,179억 달러⋅13대 주력산업 수출 비중: (2021년) 77.8% → (2022년) 77.8% →

(2023년)     77.1%

• (기계산업군) 일반기계 감소(-2.3%)에도 불구하고 자동차(2.5%)와 조선(42.4%)이 수출 호조를 보이면서 기계산업군 전체로는 5.7% 증가 전망

-자동차 수출은 공급 차질이 일부 해소되는 반면 수요도 위축되는 상황이지만 국내 업체들은 경쟁업체 대비 공급능력이나 가격경쟁력에서 우위를

보이면서 올해 대비 2.5% 증가한 783억 달러(자동차부품 포함)를 기록할 전망

-조선 수출은 2020년 4분기 이후 대량으로 수주 받은 컨테이너선, LNG운반선, LPG운반선의 수출이 대폭 증가하면서 올해 대비 42.4% 증가한 257억

달러 규모로 전망

첨부
KIET+산업동향브리프(2022_12).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