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KIET 산업동향 브리프 2018년 10월
구분
산업자료
분류
산업/기술일반
저자명
KIET
출처
KIET
작성일
2018.11.26


□ 해외경제

○ 미국은 지난 8월 생산과 소비 등 실물지표들이 전월에 이어 미약하나마 증가세를 유지한 가운데 체감지표들의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경기 여건은 양호. 연준은 9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0~2.25%로 25bp 인상 결정(9.26일)

○ 일본과 유로권은 지난 7월 실물지표들이 전월에 비해 다소 부진한 모습. 일본은 2분기 성장률이 소비 증대와 투자 확대 영향으로 전기비 0.7%로 상향. 유럽중앙은행(ECB)은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2.0%와 1.8%로 하향

○ 중국은 8월 생산과 소비 증가세가 전월보다 약간 더 확대된 반면, 투자 증가율이 통계 집계 이래 최저치(5.3%)로 떨어지고, 수출도 한 자릿수 증가. 중국 인민은행은 지급준비율(RRR)을 15.5% → 14.5%(대형은행 기준)로 1%포인트 인하

 

□ 국내 실물경제

○ 실물경기 : 8월 전 산업 생산 두 달 연속 증가, 소비 보합, 투자 감소 지속

○ 취업자 수 : 8월 전 산업 기준 전년동월비 보합 지속

○ 물가 : 9월 소비자물가 0.7% 상승, 전년동월비 1.9% 상승

○ 8월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폭 축소, 10월 초(10.1~10.8) 금리 및 원/달러 환율 상승

○ 9월 수출은 전년동월비 8.2% 감소한 506억 달러, 수입은 2.1% 감소한 408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97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

 

□ 제조업

○ 제조업 생산 : 8월 중 전년동월비 2.0%, 전월비 1.6% 증가

○ 수출 : 반도체·컴퓨터·석유제품 제외 10개 품목 감소(9월

○ 자동차 : 추석 연휴에 따른 근무일수 감소로 내수와 수출 부진

○ 조선 : 생산지표는 개선되었으나 수출은 큰 폭 감소 지속

 

□ 서비스산업

○ 생산 : 8월 서비스산업 전체 생산은 전년동월 대비 1.6% 증가

○ 고용 : 8월 서비스산업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 대비 6천 명(0.0%) 증가

○ 서비스 : 7월 서비스수지 31억 1천만 달러 적자

첨부
brief-1810(NO109).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