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KIET 산업동향 브리프 2017년 4월
구분
산업자료
분류
산업/기술일반
저자명
출처
KIET
작성일
2017.05.17

□ 해외경제

○ 미국은 2월 중 생산과 소비 등 실물지표들이 전월비 정체 양상을 보이면서 비교적 완만한 흐름인 반면, 체감지표들이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호조세를 유지. 연준은 3월 FOMC 회의에서 3개월 만에 추가 금리 인상(25bp) 단행

○ 일본은 지난 1월 중 생산이 감소세를 보인 반면, 소비가 증가세로 전환되는 등 실물지표들이 부문간 혼조세를 보이고, 유로권도 역내 생산이 증가세를 보인 데 반해, 소비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실물지표들이 아직까지는 불안정

○ 중국은 연초 생산이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지난 연말보다 좀 더 확대된 반면에, 소비는 자동차 세제 혜택 축소 등 여파로 둔화. 중국 정부가 올해 성장률 목표치를 6.5% 내외로 낮춘 가운데 인민은행은 2개월 연속 금리 인상

 

□ 국내 실물경제

○ 실물경기 : 2월 전 산업 생산 축소, 소비 확대, 투자 위축

○ 취업자 수 : 2월 전 산업 기준 전년동월비 1.5% 증가

○ 물가 : 3월 소비자 물가 전월비 보합, 전년동월비 2.2% 상승

○ 금융·외환 : 2월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폭 축소, 4월 초(4.1~4.6) 금리 및 원/달러 환율 동반 상승

○ 수출입 : 3월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13.7% 증가한 489억 달러, 수입은 26.9% 증가한 423억 달러로, 무역수지
는 66억 달러의 흑자를 달성

 

□ 제조업

○ 제조업 생산 : 2월 중 전년동월비 7.0% 증가, 전월비 3.7% 감소

○ 수출 : 반도체 . 석유제품 . 석유화학은 대폭 증가, 자동차 . 무선통신기기는 부진(3월)

○ 자동차 : 생산 증가 및 수출단가 상승에 따른 수출금액 증가

○ 조선 : 수출 증가 전환 외에 생산 및 수입지표 감소 지속

 

□ 서비스산업

○ 생산 : 2월 서비스산업 생산 전년동월 대비 2.5% 증가

○ 고용 : 3월 서비스산업 취업자 수 전년동월 대비 45만 5,000명(2.5%) 증가

○ 서비스수지 : 2월 서비스수지 22억 2,000만 달러 적자

 

원문 보기

KIET 산업동향 브리프 2017년 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