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KIET 산업동향 브리프 2016년 9월
구분
산업자료
분류
산업/기술일반
저자명
출처
KIET
작성일
2016.09.29

□ 해외경제

○ 미국은 7월 중 생산 확대를 제외하고 소비 정체와 체감 및 고용지표의 약보합 등 각종 경제지표들이 다소 약세. 2분기 성장률이 전 분기보다 높은 1.1%를 기록한 가운데 연준은 연내 추가금리 인상의지를 강하게 시사

○ 일본은 지난 2분기 성장률이 설비투자 감소폭 둔화와 가계소비 확대 등에 힘입어 잠정치 0%에서 0.2%로 소폭 상향, 유로권은 독일과 프랑스 등 역내 주요국들의 경기 부진 여파로 2분기 성장률이 전 분기보다 낮은 0.3%

○ 중국은 7월 생산과 소비, 투자 등 내수지표들이 모두 전달에 비해 현저히 둔화되면서 경기 약세가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 IMF는 중국경제의 구조적 불균형 문제로 인해 중장기 성장률의 감퇴 가능성에 대한 우려 제기


□ 국내 실물경제

○ 실물경기 :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비 0.8% 성장, 7월 생산 3개월 만에 감소, 소비와 투자 동반 부진

○ 고용 : 7월 전 산업 기준 전년동월비 1.1% 증가

○ 물가 : 8월 소비자 물가 전월비 0.1% 하락, 전년동월비 0.4% 상승

○ 금융 : 8월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폭 축소, 9월 초(9.1~9.9) 금리 보합, 원/달러 환율 하락

○ 수출입 : 8월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2.6% 증가한 401억 달러, 수입은 0.1% 증가한 348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53억 달러의 흑자를 달성

 

□ 제조업 생산 : 7월 중 전년동월비 1.7%, 전월비 1.3% 증가

○ 제조업 생산(110.8)은 기타 운송장비(-9.0%), 금속가공(-8.9%), 자동차(-6.0%) 등이 감소하였으나, 반도체(46.7%), 전자부품(3.6%), 화학제품(2.8%) 등이 증가하면서 전년동월비 1.7% 증가


□ 서비스산업 : 7월 서비스산업 생산 전년동월 대비 2.7% 증가

○ 2016년 7월 서비스산업 생산은 전문·과학· 기술 서비스, 부동산·임대업의 실적이 악화되었으나 예술·스포츠·여가, 의료보건·사회복지업, 숙박·음식점업, 운수업, 도·소매업 등이 실적호조를 보임에 따라 전년동월 대비 2.7% 증가(전월비로는 0.7% 감소)

○ 6월 서비스산업 취업자 수 전년동월 대비 45만 7,000명(2.5%) 증가

원문 보기

KIET 산업동향 브리프 2016년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