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요르단, 이라크와 공동으로 국경지대에 산업단지 건설 프로젝트 추진
구분
경제자료
분류
해외경제
저자명
암만무역관 이호빈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작성일
2023.04.20

요르단과 이라크는 언어, 종교, 문화 등에서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양국은 경제발전과 안보 등과 관련하여 상호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아래에서는 양국 간 경제협력 내역과 향후 입찰 공고가 유망한 협력 프로젝트를 알아본다.

 

요르단-이라크 협력, 그간의 경과

 

요르단과 이라크 두 나라 간에는 경제 관계를 강화를 위한 여러 움직임이 진행되어 온 바 있다. 먼저 요르단과 이라크는 양국 간 무역 촉진을 위해 여러 무역 협정을 체결한 바 있는데, 2009년에 체결된 요르단-이라크 자유무역협정(FTA)이 대표적이다. 이 협정은 양국 간에 거래되는 대부분의 상품에 대한 관세 철폐, 서비스 무역의 자유화 등의 내용을 포괄한다. 이외에도 양국은 광역 아랍 자유무역지역(GAFTA)의 회원으로서, 상품과 서비스 및 투자와 관련한 장벽을 줄여 상호간의 비즈니스를 촉진하고자 한다. 이에 더하여 2019년 2월에 요르단 정부는 요르단의 아카바항을 통해 이라크로 수입되는 상품에 대해 아카바 항구 이용료의 75%를 면제하여 이라크 수입업자는 수수료의 25%만 지급하면 되도록 합의했다. 또한 2021년 3월부터 양국은 경제 및 상업 분야의 통합 촉진을 위해 이라크로 수출되는 요르단의 모든 품목에 대한 관세를 면제하는 데 합의하기도 했다.

 

양국은 한편 양국의 경제 발전과 에너지 안보를 촉진하기 위해 석유 및 가스 등 에너지 분야에서의 협력을 다져 왔다. 이라크는 주요 석유 및 가스 생산국이며 요르단은 자국 에너지 수요 충족을 위해 이라크 석유 및 가스를 수입할 기회를 모색해 왔다. 2019년 1월, 요르단 압둘라 2세 국왕이 이라크를 방문해 양국 간 송유관 프로젝트 실행에 논의한 바 있으며, 같은 해에 양국은 이라크 석유를 요르단으로 수송하는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파이프라인은 이라크 남부의 바스라에서 요르단 홍해의 항구 도시인 아카바까지 총 연장 1,775km를 연결하는데 이를 통해 하루 100만 배럴의 석유가 수송될 예정이다. 수송된 석유는 아카바 항구를 통해 해외 시장으로 수출된다. 단, 재정 문제 및 여러 정치적 문제 등으로 인해 이 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조사가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총 소요비용은 대략 70~180억 달러 수준으로 추산된다. 

 

<바스라-아카바 송유관 프로젝트 위치>

[자료: 세계 에너지 모니터 위키]

 

전력망 분야에서도 양국은 협력을 추진 중이다. 2018년 12월, 바그다드에서 열린 고위급 양자 회의에서 양국의 전력망 연결 프로젝트(Jordan-Iraq Electrical Interconnection Project)에 대해 양해각서가 체결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1단계에서 Risha 발전소에서 Al Qaim 지역까지 약 330km 길이의 전력망을 연결하는데, 2024년 말에 동 1단계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요르단에서 이라크로 150MW의 전력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2단계, 3단계 프로젝트를 거치면 총 900MW 규모의 전력망 연결이 가능해진다.

 

또한 양국은 2020년에 요르단 내 정유공장 건설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는데, 완공시 하루 15만 배럴 이상의 생산능력을 갖춘 정유소가 이라크산 원유를 처리하며 요르단 내수용 및 수출용 정제 석유제품을 생산할 예정이다. 또한 양국은 2019년에 공동 국경지대에서 석유 및 가스 공동 탐사 기회를 모색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기도 했다.

 

금융 및 은행 분야에서도 양국의 협력은 이어졌다. 양국 중앙은행은 2016년에 은행 감독 및 규제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하고, 리스크 관리나 자금 세탁 방지, 테러 자금 조달 방지 등을 공동으로 수행해 왔다. 또한 2017년에 양국은 자국 통화 교환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협정을 체결한 바 있으며, 2018년에는 양국의 프로젝트 자금 조달을 위해 합작 은행인 요르단-이라크 투자무역은행(Jordan-Iraq Bank for Investment and Trade)이 설립된 바 있다. 이 은행의 자본금은 5억 달러이며 각 국가가 2억 5천만 달러를 출자했다. 합작 은행은 대출, 보증, 신용장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며 요르단과 이라크의 인프라 프로젝트 등에 금융을 제공한다.

 

2023년 2월에는 제29회 ‘요르단-이라크 경제 포럼’이 이라크에서 개최되어 상업, 산업, 서비스, 계약, 정보 기술, 금융, 은행, 관광 등 다양한 부문을 대표하는 130명의 요르단 기업인 사절단과 양국의 산업 및 무역 장관이 참석한 바 있다.

 

이와 같은 협력 움직임 속에서 요르단과 이라크 간의 총 교역량은 2022년 1~11월 동안 9.9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86억 달러에 비해 약 70% 증가했다. 2022년 1~11월 요르단의 대이라크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53% 늘어난 7.98억 달러로 주요 수출 품목은 야채와 과일, 유제품, 기름, 육류, 소금, 담배, 의약품, 염료, 향수, 파이프, 직물, 전기 제품 등으로 집계되었다. 같은 기간 이라크의 대요르단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117% 늘어난 1.41억 달러를 기록했다.

 

양국간 공동 산업단지 건설 프로젝트

 

2023년 3월, 양국은 요르단-이라크 국경 지대에 공동 경제-산업 단지(Economic City)를 건설한다는 프로젝트의 세부 내용 및 일정을 공식 발표했다. 양국은 이미 2019년에 국경 지대에 공동 산업단지를 설립한다는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양국은 동 프로젝트를 통해 양국 간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 일자리 창출 및 투자 유치를 위해 양국 경제 부문의 활성화를 이룩한다는 복안이다.

 

이번 프로젝트 내역에는 공동 경제 산업단지 건설과 관련 개발, 자금조달, 관리, 투자, 홍보, 운영 및 유지 관리를 포함한 계획, 연구, 설계 및 엔지니어링 부문이 모두 포함되었다. 프로젝트 세부 사항은 아래 표와 같다.

 

<요르단-이라크 경제도시(Economic City) 프로젝트>

항목

내용

프로젝트명

요르단/이라크 국경지대 공동 경제 산업단지 건설 프로젝트

발주처

산업통상공급부(요르단), 산업광물부(이라크)

수행사

이라크-요르단 산업회사(The Iraqi-Jordanian Company for Industry, IJCI)

    * 1980년에 이라크에 설립되어 양국 정부가 동등 소유

위치

요르단/이라크 국경 지대 약 22 km2

규모

75백만불(자료 : MEED)

추진내용

공동 경제 산업단지 건설과 관련 개발, 자금조달, 관리 , 투자, 홍보, 운영 및 유지 관리를 포함한 계획, 연구, 설계 및 엔지니어링 부문

 ① 공업 및 중형 산업도시 건설

 ② 무역 및 물류 산업시설 건설

 ③ 중소형 제조시설 건설

 ④ 도로망 구축

 ⑤ 주차시설, 물류 창고, 소매점 및 부대시설 건설

입찰일정

(잠정)

 ① 2023년 상반기: 개발자(Project Developer) 초청 입찰 공고 일정 추진

 ② 2023년 8월: 입찰제안서 제출 마감

 ③ 2023년 말: 프로젝트 개시

 ④ 2026년 12월: 프로젝트 완공

[자료: Jordan Times, Jordan News, Ammon News, Meed Project 종합]

 

시사점

 

레반트 및 인근 중동 시장을 겨냥하는 국내 기업은 요르단과 이라크 간의 경제 협력을 활용하여 요르단을 중계 무역시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 2010년대 중반부터 요르단-이라크 국경 폐쇄조치로 중계무역로가 막히면서 요르단-이라크 간의 무역은 곤두박질쳤으나, 2022년 12월에 요르단-이라크 간의 유일한 국경 통과지점인 카라메/트레빌 국경 교차점(Karameh/Trebil Border Crossing Point)이 재건을 완료하면서 양국간 사람과 물품의 국경 간 이동이 활성화될 전망이다. 또한 최근 수 년간 계속된 각종 관세조치 철폐로 인해 요르단-이라크 간의 교역량이 증가하고 있어, 국내 기업은 요르단 수입업자를 경유하여 이라크 시장으로의 진출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국내 관련 기업은 위에서 설명한 공동 산업단지 건설 프로젝트가 공고되면 디벨로퍼 자격으로 참여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정보 및 현지 유관기관과의 연락을 원하는 기업은 KOTRA 암만무역관으로 연락바란다. (이메일: hlee@kotra.or.kr)


 

자료원:  Jordan News, Jordan Times, Ammon News, Meed Project, 요르단 통계청 및 KOTRA 암만무역관 자체 조사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