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통계로 보는 카타르 2022 무역 동향
구분
경제자료
분류
해외경제
저자명
도하무역관 문수아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작성일
2023.01.03

카타르 수출입 동향

 

카타르 전체 수출의 87%를 차지하는 천연가스 및 원유, 석유화학 제품 등 에너지 자원은 무역수지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2020년 초에 발생한 코로나19의 대유행이 야기한 에너지 자원의 수요 감소 및 유가 하락으로 2019년 대비 수출과 수입 규모 모두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카타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며 위축되었던 경제 회복, 건설 프로젝트 재개, 월드컵 개최 준비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무엇보다 2022년 2월 발생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연료 가격 급등으로 인해 수출 규모 1110억 달성하며 높은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2019-2022 카타르 수출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9

2020

2021

2022

수출

72,935

51,504

87,203

110,236

수입

31,354

25,835

27,985

27,716

무역수지

41,581

(△18%)

25,669

(△38.26)

59,218

(130.69%)

82,520

(39.34)

주: 2022년의 경우 1-3분기 자료
[자료: 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카타르의 에너지 자원은 무역수지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세계적인 에너지 자원 공급난 속에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경제를 유지할 수 있었으며, 지난 4년 중 역대 최고의 무역수지를 경험하며 전년 동기 대비 약 40%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이 수치는 2022년도 1-3분기 통계 수치로 4분기까지 포함된다면 2022년 무역수지는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조업이 크게 발달하지 않은 카타르는 대부분의 물품 수요를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각종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산업 기자재, 자동차, 소비재 등의 수입과 함께 전체 수입 규모는 약 277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 수치는 매년 비슷한 것으로 나타난다.

 

국가별 수출입 동향


2022년 기준 카타르의 주요 수입 국가는 중국, 미국, 인도로 해당 상위 3개 국가가 전체 수입의 약 37%를 차지한다. 한국의 경우 전체 수입의 1.5%를 점유하고 있다. 2017년 6월 발생한 주변국(사우디, UAE, 바레인, 이집트)과의 단교사태로 해당 국가들과의 육상, 영공, 영해를 통한 출입국 및 수출입이 금지되면서 GCC국가로부터의 수입은 단교사태 정상화 이후에도 점유율을 회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단교국이 아닌 오만으로부터의 수입은 단교사태 중 우회노선 및 신규거래선 구축에 따른 영향을 받아 2022년 기준 약 3%의 점유율을 차지한다. 카타르의 전체 수출 중 11%가 한국으로 향하고 있으며 상위 4개국인 중국, 인도, 한국, 일본으로의 수출량은 카타르 전체 수출의 약 48%를 점유하고 있다.

 

<2022 국가별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수입

수출

연번

국가

금액

점유율

연번

국가

금액

점유율

1

중국

4,565

16.6

1

중국

16,419

15

2

미국

3,772

13.7

2

인도

12,690

12

3

인도

1,734

6.3

3

한국

11,985

11

4

이탈리아

1,486

5.4

4

일본

10,930

10

5

독일

1,297

4.7

5

영국

7,696

7

6

터키

1,231

4.5

6

싱가포르

5,627

5

7

영국

1,154

4.2

7

이탈리아

5,019

4.6

8

스위스

882

3.2

8

벨기에

4,964

4.55

9

오만

866

3.15

9

아랍에미리트

4,836

4.43

10

비분류

751

2.7

10

파키스탄

3,228

3

16

한국

408

1.5

11

프랑스

3,161

2.9

[자료: 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품목별 동향


카타르의 주요 수입품목은 인프라 프로젝트의 진행 및 오일·가스시설 유지보수 등을 위한 산업 기자재로 구성돼 있으며 주요 수입 품목은 매년 큰 변동이 없는 편이다. 2022년 1-3분기 1위 수입품목은 석유 화학 시설에서 사용되는 가스터빈과 항공기 및 선박용 터보제트(HS 84111200)로, 해당 품목은 11억3000만 달러 규모로 수입돼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다. 2022년도 수입 제품 줌 특이한 점은 ‘지정되지 않은 항목’(HS 93990000)으로, 전년대비 596% 수입량 증가를 보였으며 전체 수입의 2위를 차지한다. HS코드 93으로 시작되는 경우 무기 및 탄약-부품 및 액세서리로 분류되고 있으나 카타르 관세청은 구체적인 품목명을 공개하지 않았으며 해당 품목은 미국, 노르웨이, 터키로부터 대부분의 수입이 이루어졌다.


카타르의 경우 최대 항공사 중 하나인 카타르 항공의 꾸준한 성장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와 함께 항공기 부품군(HS 88033000)이 전체 수입의 2.4%를 점유하고 있다. Fitch Solution은 2022년 카타르의 가계 지출이 3.6% 증가할 것, 귀금속을 포함하는 개인 용품 지출은 6.25%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었다. 이런 예상에 맞게 귀금속 제품의 수입은 전년대비 약 56% 로 크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위축되었던 소비시장 및 경제의 회복을 의미하기도 한다. 주목할 만한 주요 수입 품목으로 기타 의약품(HS 30049010)이 있다. 코로나19 이후 카타르의 의료산업은 빠르게 성장해왔을 뿐 아니라 현재 준 종합병원 수준의 사립 병원 개원 등으로 인해 앞으로 지속해서 관련 품목에 대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2022년 카타르의 천연가스 및 원유 수출은 약 800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79%를 차지했다. 유가 폭등 및 에너지 자원의 공급망 위기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석유화학제품인 나프타, 에틸렌, 질소비료 등도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기록했다. 최근 독일을 비롯 중국과 맺은 중장기적 천연가스 공급계약은 앞으로 카타르의 수출량이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1-3분기 카타르 10대 수입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연번

HS코드

품목명

금액

점유율

증감률

1

84111200

가스터빈, 항공기 및 선박용 터보제트
(Turbo Jets Of A Thrust Exceeding 25 Kn)

1,132

4.7

25.4

2

93990000

지정되지 않은 항목 – 미분류

(Non Specified Items)

813

3.7

596

3

88033000

항공기 부품

(Other Parts Of Aeroplanes Or Helicopters)

584

2.4

22.8

4

71131910

귀금속으로 만든 것

(Jewelry  Of Gold)

509

2.1

56.4

5

85171200

전화기

(Telephone Sets , Mobile)

405

1.7

22.7

6

74081100

구리선

(Copper Wire Of Which The Maximum Cross-Sectional Dimension Exceeds 6 Mm)

360

1.5

22.2

7

28182000

인조 커런덤, 산화 및 수산화 알루미늄

(Other Aluminum Oxide)

313

1.3

33.7

8

71081210

(Gold Ingots)

286

1.2

-9.5

9

87032111

1,000cc 이하 자동차

(Motor Vehicle The Year Clearing Or Subsequent Of The Year)

251

1

8.6

10

30049010

기타 의약품

(Medical Solutions)

234

1

26.7

기타

19,283

80

-

합계

24,168

100

22

[자료: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관세법령정보포털(HS코드 해설서)]


<2022년 1-3분기 카타르10대 수출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연번

HS코드

품목명

금액

점유율

증감률

1

2711

천연가스

(Petroleum Gases And Other Gaseous Hydrocarbons)

65,849

65

74.3

2

2709

석유와 역청유(원유)

(Petroleum Oils & Oils From Bituminous Minerals Etc. (Crude))

14,435

14.3

58.4

3

2710

석유와 역청유(원유 제외)

Petroleum Oils & Oils From Bituminous Minerals Etc. (Not Crude)

8,182

8.1

38.7

4

2909

에테르와 과산화알코올류

(Ethers, Ether-Alcohols, Ether-Phenols, Ether-Alcohol-Phenols)

2,874

2.8

99

5

3102

질소비료

(Mineral Or Chemical Fertilizers, Nitrogenous)

2,740

2.7

83.5

6

3901

에틸렌의 중합체
(Polymers Of Ethylene, In Primary Forms)

2,200

2.2

5.7

7

7601

알루미늄 괴

(Unwrought Aluminum)

1,542

1.5

35.8

8

2503

황(콜로이드황 제외)

(Sulfur Of All Kinds, Other Than Sublimed, Precipitated Or Colloidal Sulfur)

727

0.7

210

9

2903

탄화수소 할로겐화 유도체

(Halogenated Derivatives Of Hydrocarbons)

498

0.5

99

10

2804

수소 및 희가스, 비금속 원소

(Hydrogen, Rare Gases And Other Non-metals)

430

0.4

48

기타

1,748

1.7

-

합계

101,224

100

61.6

[자료: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관세법령정보포털(HS코드 해설서)]

 

한국과의 수출입 동향


한국은 2022년 기준 카타르의 3위 수출국이자 16위 수입국이다. 2022년 기준 한국의 카타르향 수출은 약 4억4600만 달러로 전년대비 21% 가량 증가했다. 한국은 주로 자동차, 전자제품, 산업 기자재 등을 수출하고 있으며 천연가스 및 원유와 같은 고부가가치의 에너지 자원을 카타르로부터 수입하고 있어 우리나라의 무역수지 적자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2019-2022 한국의 대카타르 수출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구분

2019

2020

2021

2022

수출

357,290

(△32.1)

339,097

(△5.1)

420,152

(23.9)

446,190
(21.5)

수입

13,036,553

(△20)

7,562,141

(△42)

11,611,066

(53.5)

14,913,892
(46.2)

무역수지

-12,679,263

(19.58)

-7,223,044

(43)

-11,190,914

(△55)

-14,467,702

(△29.3)

주: 괄호 안의 수치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자료: KITA]

품목별 동향

 

2022년 1-11월 MTI 3단위 기준 카타르로 가장 많이 수출된 우리나라 제품은 철강관 및 철강선(MTI 614)으로, 전년대비 681% 증가한 7억7658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카타르의 천연가스 생산 증대 뿐 아니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글로벌 에너지 원료 수급난이 심화되면서 천연가스 수출 확대와 함께 철강관 수입도 함께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진행 중인 북부 가스전 증산 개발로 2027년까지 세계 최대 천연가스 생산국을 목표로 한 만큼 해당 품목의 수입은 앞으로도 상승세를 보일 전망이다.

 

자동차(MTI 741)는 한국이 매년 카타르로 수출하는 주요 상위 품목이며 6억1264만 달러로 수출돼 전년대비 약 49% 증가했다. Market Research Qatar에 따르면, 2021년 신차 등록은 전년대비 24%가량 증가했으며 2022년도에도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카타르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10월 기준 신차 등록은 전년 동기 대비 1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영향으로 경제적 불안정으로 인해 신차 수요가 감소했다가 경제가 회복되면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년대비 무려 6,214% 수출 증가를 기록한 선박해양 구조물 및 부품(MTI 746)의 경우 LNG 운반선의 발주가 2020년 협약 체결 2년 만에 시작된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100척 이상의 운반선의 발주를 고려한다면 동 품목 수출은 계속해서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다.

 

수출 금액에서 50% 감소세를 보인 전력용 기기(MTI 841)는 한국 기업의 카타르 대규모 전선 공급 프로젝트 진행이 시작된 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레 감소세가 나타나고 있다. 건설광산기계(MTI 725)의 경우도 카타르 월드컵 이전까지 빠르게 진행해오던 건설 프로젝트 종료 및 발주 감소로 지속해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카타르는 한국의 1위 LNG 공급국으로, 2022년 기준 천연가스(MTI 134) 수입은 약 74억 달러로 37% 증가했으며 원유(MTI 131) 또한 45억 달러로 약 45% 증가하여 에너지 자원 수입을 카타르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나프타 및 윤활유를 포함한 석유제품(MTI 133)의 경우 98% 증가한 23억 달러를 기록했다.

 

<2022년1-11월 한국 대 카타르 품목별 수출입 >
(단위: 천 달러, %)

수출

수입

연번

MTI

품목명

금액

점유율

증감률

연번

MTI

품목명

금액

점유율

증감률

1

614

철강관 및 철강선

77,658

17.4

681.5

1

134

천연가스

7,383,630

49.5

37.5

2

741

자동차

61,263

13.7

48.9

2

131

원유

4,599,202

30.8

44.9

3

133

석유제품

28,396

6.4

47.8

3

133

석유제품

2,318,184

16

97.6

4

841

전력용기기

25,534

5.7

-50.6

4

621

알루미늄

259,666

1.7

31.9

5

746

선박해양

구조물 및 부품

23,096

5.2

6,214.4

5

231

질소비료

147,715

1

575.2

6

617

주단조품

15,619

3.5

133.8

6

228

정밀화학원료

136,496

1

44.7

7

725

건설광산기계

14,892

3.3

-71.4

7

214

합성수지

30,858

0.2

1.8

8

711

원동기 및 펌프

12,264

2.7

-14.6

8

211

기초유분

22,888

0.15

-11.3

9

214

합성수지

12,149

2.7

-38.2

9

135

LPG

3,970

0.02

-92.1

10

835

건전지

및 축전지

11,023

2.5

-13.6

10

226

농약 및 의약품

3,423

0.02

11,433.7

기타

164,296

37

-

기타

7,860

0.05

-

합계

446,190

100

21.5

합계

14,913,892

100

46.2

[자료: KITA]

 

시사점

 

2022 카타르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카타르 정부는 대부분의 인프라 프로젝트를 이미 완료한 상태이다. 이에따라 2023년 신규 프로젝트 예산으로 2022년 대비13.6% 감소한 176억 달러를 편성함에 따라 각종 물품 및 기자재의 수입은 점차 감소할 수도 있다. 하지만, 북부 가스전(North Field) 증산 프로젝트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관련 화학시설에 사용되는 품목의 지속적인 수요를 예상할 수 있다. 무엇보다 2023년 신규 프로젝트 예산의 경우 전체 예산의 28%를 차지하기 때문에 중대형 신규 프로젝트 발주로 인한 관련 산업기자재 수입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코로나19를 경험하며 수입된 한국산 의료용품, 의약품, 의료기기에 대한 현지 시장의 반응이 긍정적인 편이기 때문에 2022년 카타르 10대 수입품목에 포함된 기타 의약품(HS 30049010)과 관련된 제품으로 시장 진출을 고려해볼 수도 있다. 다만 체내에 흡수되는 의약품의 경우 정부에 등록을 해야하기 때문에 등록 절차 및 구비서류 관련하여 현지 에이전트나 무역관에 미리 연락해서 관련 내용을 알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한편, 카타르는 2017년 단교사태와 2020년 코로나19 대혼란을 겪으며 취약한 제조업 분야를 발전시키고 정부차원의 지원을 하고자 노력해왔다. 대부분의 제품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현지화 전략을 앞세워 복잡한 제조시설을 요구하지 않는 산업 기자재 및 의료 소비재와 같은 단순 제조업 설비 관련 기회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카타르 통계청 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한국무역협회KITA, 관세법령정보포털, Market Research Qatar, Fitch Solution, 주요 일간지(Gulf Times, Peninsula, Qatar Tribune), KOTRA 도하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