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경제정보를 자료구분, 자료출처별로 제공합니다.

‘15년 캄보디아 경제 동향
자료구분
동향
출처
한국무역협회
관련부서
호치민지부
수집일
2016.06.17
작성일
2016.06.20
원본URL
바로가기
‘15년 캄보디아 경제 동향
 
1. 캄보디아 경제 현황
 
□ 고성장을 지속하는 캄보디아 경제 
 
 o ‘15년 캄보디아는 의류 및 신발 제조, 건설 부문의 고성장으로 7.0%의 높은 GDP 성장률을 기록함
  - 캄보디아의 저렴한 노동력으로 인해 의류 및 신발 생산 관련 외국인 직접 투자(FDI)가 지속적으로 증가함
  - 한편, 농업 부문은 계속된 가뭄으로 저성장이 지속됨
 
□ ‘15년 부문별 캄보디아 경제 현황
 
 o ‘15년 캄보디아 경제 성장을 이끈 의류 및 신발 제조 부문은 전년 대비 9.8% 성장하였으며, 건설 부문은 전년 대비 19.2% 성장함
 
 o 산업 부문은 전년 대비 11.7% 성장하였으며, 서비스 부문은 전년 대비 7.1% 성장함
 
 o 부동산 부문은 전년 대비 약 12% 성장하였으며, 금융, 운송 및 통신, 도매 및 소매 부문은 모두 약 8%의 성장률을 기록함

 o 관광 부문은 일본, 한국, 라오스 등의 관광객이 줄어 전년 성장률에 다소 못 미치는 6.1%의 성장률을 기록함 
 
 o 농업 부문은 엘니뇨로 인한 건조한 날씨 때문에 0.2%의 저조한 성장률을 기록함
  - ‘15년 쌀 수확은 전년에 비해서 많은 변화가 없었지만, 옥수수 및 콩 생산이 줄었으며 카바사 및 천연 고무의 생산은 다소 증가함
 
 o ‘15년 순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은행 및 소액 금융기관에 대한 투자가 다소 증가하여 약 18억 달러를 기록함
 
 
부문별 경제 성장 기여도 (%)
 
 

□ ‘15년 미얀마 정부 부문 동향
 
 o 캄보디아 정부의 재정 건전화 노력으로 인해 보조금을 제외한 재정적자 비율은 ‘14년 3.5%에서 ’15년 2.4%로 감소함
 
 o 캄보디아의 외부 공공 부채는 ‘14년 53억 달러에서 ’15년 57억 달러로 다소 증가함
  - 캄보디아는 실질적으로 국내 부채가 존재하지 않음
 
 o ‘15년 공공 수익의 GDP 차지 비율은 17.1%로 ’14년 세금 징수 개선 이후 다소 증가함
 
 o 정부지출의 GDP 차지 비율은 ‘14년 20.7%에서 ’15년 19.5%로 다소 감소한 수준을 기록함
 
 
캄보디아 재정 지수
  
 
 
□ ‘15년 미얀마 금융 부문 동향
 
 o ''''15년 캄보디아 중앙은행은 주요 통화 정책 도구인 외환 은행에 대한 지급 준비율을 12.5%로 유지함
 
 o 민간 부문의 신용 성장률은 ‘14년 31.3%에서 ’15년 27.1%로 감소하였고, 통화 공급(M2 기준)은 14.7%에서 29.9% 증가함
 
 o ‘15년 캄보디아의 외환 보유액은 전년 대비 16% 증가하여 51억 달러를 기록함
  - 캄보디아는 달러화 비율이 매우 높으며 ‘15년 외화 예금 비율은 83%를 기록함
  - 캄보디아 경제에서 높은 달러화 비율과 같은 금융 취약점들이 존재해, 금융 탄력성 강화를 위해 추가적인 외환 보유가 필요하다고 판단됨
 
□ ‘15년 미얀마 수출입 동향
 
 o ‘15년 캄보디아의 수출은 전년 대비 14.1% 증가하여 약 85억 달러에 이름
  - 의류 및 신발 수출이 전체 수출의 약 70%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10.2% 증가함
 
 o 의류 산업을 위한 수입이 가파르게 증가하여, 유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15년 수입은 전년 대비 11.9% 증가한 119억 달러를 기록함
 
 
2. 캄보디아 경제 전망
 
□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캄보디아 경제
 
 o 캄보디아는 계속된 경제 성장으로 ‘16년 7.0%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17년 이후 경제성장속도가 다소 빨라질 전망
 
 o 서비스 부문은 도매 및 소매업, 부동산, 비즈니스 서비스 부문의 고성장으로 ‘16년 7.8%의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됨
 
 o ‘16년 캄보디아의 산업 부문은 고부가가치 산업 성장과 의류 및 신발 생산의 다양화로 9.5%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
 
 o ‘16년 캄보디아의 농업 부문은 엘니뇨가 점차 사라짐에 따라서 전년보다 다소 증가한 1.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경제 지수 전망 (%)
   20162017
GDP 성장률7.07.1
인플레이션율2.53.0
경상 지수 (GDP 차지 비율)-11.1-10

 
 
□ ‘16년 캄보디아 재정정책 전망
 
 o ‘16년 캄보디아 정부의 재정정책은 더욱 확장될 예정
 
 o ''''16년 캄보디아 정부는 예산은 보조금을 제외한 재정 적자를 감소를 겨냥해 예산을 책정하였으며, 실제로 전년 재정 적자보다 다소 높은 수준임
 
 o ‘16년 캄보디아의 정부 지출은 주로 공무원의 임금 인상을 통해 이루어질 예정이며 전년 예산에 비해 16.1% 늘어날 전망

□ 캄보디아 경제를 향한 여러 위험요소
 
 o ‘15년 캄보디아 정부의 대출 감소 정책에도 불구하고 빠른 신용 성장과 금융 부문 취약성 노출이 캄보디아의 금융시장의 위험으로 대두됨
 
  - 캄보디아의 GDP대비 민간 신용 비율은 지난 4년간 거의 두 배 가까이 증가하여 ‘15년 약 60%를 기록했으며, 은행 평균 예대율 또한 ’15년 2월 100%를 넘어섬
  - 규제 당국은 금융 시스템의 빠른 확장 및 다수의 소액 금융 기관을 면밀히 감독해야 할 필요가 있음
 
 o 수출 시장의 저조한 성장률, 미국 달러 강세 및 캄보디아의 높은 달러화 비율이 국가 경쟁력을 악화시키는 또 다른 요인으로 지목됨
  - 캄보디아의 은행 및 소액 금융 기관들은 외부 자금 의존비율이 높으며, 세계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수록 자금 조달 비용 증가와 유동성 악화가 예상됨
 
□ 다양화가 필요한 캄보디아 제조업
 
 o 캄보디아 의류 및 신발 제조를 포함한 여러 제조업 부문에서 생산 및 지역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성장 기반은 여전히 협소한 상태임
  - 중국의 구조적 변화 및 동남아시아 공장 지역의 변화가 캄보디아로 하여금 더 많은 생산 및 수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 그러나, 높은 임금의 압박, 미국 달러 강세, 생산성의 정체 등이 캄보디아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음
  - 미얀마와 같이 임금이 낮은 의류 생산국들과의 경쟁도 캄보디아 제조업을 위협하는 요인이 됨
 
 o 제조업 다양화를 지원하기 위해 캄보디아 정부는 ‘15년 8월 노동 집약적 제조 산업 개선을 위한 2025년 산업 발전 정책을 발표함
  - 본 정책의 주요 내용은 외국 및 국내 투자, 중소기업 확장 및 현대화, 강한 규제 및 집행, 비즈니스 환경 개선 등임
 
 
< 출처 : AD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