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경제정보를 자료구분, 자료출처별로 제공합니다.

조선업의 또 다른 기회, 해양레저산업!
자료구분
동향
출처
전국경제인연합회
관련부서
미래산업팀
수집일
2016.05.30
작성일
2016.05.31
원본URL
바로가기
조선업의 또 다른 기회, 해양레저산업!
- [바다의 날] 해양레저산업 활성화 제안 -


- [이탈리아] 쇠락한 조선소·항만 전환, 레저선박제조단지로 부흥
- [뉴질랜드] 카약·요트 등 코스를 연결한‘바다의 올레길’운영
- [한국] 세계 1위 조선업 인력·제작설비, 레저선박 제조로 활용
지구둘레 1/3 길이 아름다운 해안선, 올레길 같은 ‘바닷길’ 만들어야

최근 대형 화물선 위주의 우리나라 조선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해법으로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레저선박 제조업과 서비스산업이 융복합된 해양레저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키워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전경련은 5월 31일 바다의 날을 맞아 외국 해양레저산업 성공사례를 소개하며, 요트 등 고부가가치 선박제조업과 새로운 관광산업 ‘바닷길’ 육성을 통해 해양레저산업을 키우자고 주장하였다. 조선 강국인 우리나라는 우수한 인력, 생산 시설 등을 갖고 있어 고부가가치 선박제작에도 강점이 있을 뿐 아니라, 지구둘레 1/3, 중국 41배(국토면적 대비) 길이의 해안선을 갖고 있어 해양관광 환경도 우수하다. 
* 레저선박 제작, 부품생산, 수리 등의 제조업 + 마리나, 해양레저시설 등 서비스업 포함



사람·시설·해안선, 우수한 3대 경쟁력 보유

우리나라 조선업계의 뛰어난 기술 인력과 중소형 조선사의 유휴 시설, 긴 해안선을 보유한 삼 면의 바다는 해양레저산업에 주요한 자원이다.




레저선박 제조 과정은 가공, 용접, 페인트 등의 생산 공정이 일반 선박을 만드는 과정과 유사하기 때문에, 전환 교육만 실시하면 조선분야의 우수 인력들을 레저선박 제조분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국내 대부분의 중소형 조선소는 강선(steel ship)을 생산하고 있는데, 강선 제조시설의 핵심인 선대, 도크 등은 대형요트를 제작하고 수리하는 설비로 활용이 가능하여 유휴 생산설비도 전환해 활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긴 해안선과 3면의 바다도 해양레저산업의 중요한 자원이다. 우리나라 국토 면적(96,920km2) 대비 해안선 길이(1,247만m)의 비율은 129로, 미국(14.6)의 8.8배, 이탈리아(31.4)의 4.1배다. 길이가 길 뿐만 아니라, 동해, 남해, 서해 등 연안별 특색이 달라서 다양한 해양레저 코스를 만들 수 있다.



이탈리아의 쇠락한 중형 조선소, 레저선박 제조단지로 재도약

이탈리아 비아레지오(Viareggio) 지역은 쇠락한 조선소가 레저선박 제조단지의 중심으로 거듭난 대표 사례다.




일반 선박 생산업체 세크(SEC)가 2002년 도산한 후, 베네티(Benetti) 등 12개 요트업체가 이를 인수하여 일반 선박용 조선소와 유휴 항만시설을 레저선박 제조용으로 전환했다. 이후 30여개의 레저선박 제조업체와 약 1천개의 부품생산업체가 밀집한 클러스터가 형성됐고, 전세계 슈퍼요트의 약 22%를 생산하는 레저선박제조 중심지가 되었다. 제조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변경, 선체 수리·보수, 부품 교체 등 수리·유지보수 물량을 세계 각국에서 유치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 대형 레저선박 수리는 1개월 이상이 소요되어, 선원들의 체류비용을 추가 수익으로 얻음



남아공, 레저선박제조 불모지에서 세계 2위의 제조국(멀티헐 분야)으로 성장

남아프리카공화국은 국가가 전략적으로 레저선박 제조업을 육성하여 유럽, 미국, 호주 등에 요트를 공급하는 국가로 성장했다. 남아공 정부는 2001년 관련 협회(SABBEX, South Africa Boatbuilders Business Council)를 설립하고, 인력, 기술, 자본 등을 적극 지원해왔다. 인력 확보를 위해 숙련공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했고, 기술을 전수받기 위해 뉴질랜드와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또한, 자국 수출 및 생산 실적을 쌓기 위해 구매자들에게 국가 차원에서 재정보증을 하고, 외국의 유명 업체의 지사와 공장을 유치했다. 그 결과, 20여년 전 레저선박 제조업 불모지에서 전세계 멀티헐의 30%(’13년 기준, 세계 2위 점유율)1)를 생산하는 국가로 도약했다. 
* 멀티헐(Multihull) : 선체가 2개 이상인 레저선박의 명칭, 선체 1개는 모노헐(Monohull)
1) KOTRA(’14)


< 남아프리카공화국, 국가 차원의 레저선박제조업 육성 방안 >
인력- 숙련된 현장인력 양성 프로그램 운영

기술- 뉴질랜드와의 전략적 제휴 통한 기술인력 유치제도 도입

자본- 계약금을 지불하는 보트 구매자들에게 재정보증

기타- 해외 유명 업체의 지사와 공장 유치


* 출처 : 중소조선연구소



산에는 백두대간, 땅에는 올레길, 바다에는 ‘바닷길’ 만들어야

전경련은 카누, 요트 등 해양레저코스를 편도로 연결한 ‘바닷길’을 조성하자고 제언하며, 뉴질랜드 사례를 소개했다. 뉴질랜드 남섬의 아벨 타스만(Abel Tasman) 국립공원에는 요트, 카약, 수상택시 등을 갈아타며 해양레저를 즐길 수 있는 바닷길이 있다. 제주도 해안선 길이(258km)의 약 5분의 1 구간(54.3km)에 약 15가지 투어코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레저기구를 대여해 편도로 이용하고 다른 곳에서 반납할 수 있어 같은 장소를 왕복하지 않아도 된다.

반면 우리나라는 바다에서 요트나 카약을 편도로 이용할 수 있는 투어코스는 드물고, 30분~1시간 동안 연안 한 바퀴를 돌고 오는 정도로 활동이 제한적이다. 현행법상, A업체와 B업체가 제휴하여 뉴질랜드 같은 바닷길을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A업체가 A지역에서 B지역으로 가는 코스를 만들려면, B지역에 이미 계류장, 매표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 명의의 시설을 추가로 마련해야 하므로 영세 사업자는 엄두를 내기 어렵다.

전경련은 국가 차원에서 제주 올레길 같은 해양레저코스 ‘바닷길’을 만들고, 해양레저 문화를 확산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뉴질랜드처럼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바닷길’ 코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업자간 계류장 공유를 허용하여 코스를 운영할 수 있게 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 해양레저사업 관련 법령 : 계류장·매표소 설치해야 탑승객 승·하선 및 사업구역 허가(① 요트는 유선 및 도선사업법, ② 카약, 제트보트 등은 수상레저안전법에 귀속)
* 제주 올레길 경제적 효과 : (생산유발효과) ’10년 기준 2,528억원, (관광객 유치) ’15년 제주 올레 탐방객 94만4,644명, (브랜드 수출) ’16.5월 기준 일본 규슈 올레길 17개 코스 조성




전경련 추광호 산업본부장은 “외국 사례의 벤치마킹을 통해 우리가 가진 조선산업 경쟁력을 해양레저산업 활성화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하며, “우리가 이미 갖고 있는 우수한 해양 환경과 조선 기술을 적극 활용해 미래 성장동력인 해양레저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첨부] 1. 뉴질랜드 바닷길 개요
2. 국내 해양레저산업 현황 
첨부
160530_뉴질랜드 바닷길개요.pdf 160530_국내외 해양레저산업 현황.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