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경제정보를 자료구분, 자료출처별로 제공합니다.

반도체·대기업 편중, 신생기업 부족…‘한국 ICT 호황’의 진실
자료구분
동향
출처
관련부서
무역전략실
수집일
2018.08.29
작성일
2018.08.31
원본URL
바로가기
반도체·대기업 편중, 신생기업 부족

…‘한국 ICT 호황’의 진실

- 주력 업종 다변화, 서비스업 육성, 스타트업 성장 사다리 구축 시급 -

 

  

최근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반도체 등 일부 업종과 대기업에 지나치게 편중된 결과라는 지적이다. ICT 신규 창업기업과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 비율도 경쟁국보다 저조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신승관)은 2일 ‘스탠더드앤푸어스 캐피털(S&P Capital) IQ’에 매출이 등록된 글로벌 ICT 기업 2만6588개사의 최근 10년 매출을 분석한 ‘주요국의 ICT 산업 성과비교 및 시사점’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015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국내총생산(GDP) 대비 ICT 산업의 부가가치 비중이 유일하게 10%를 넘어 7.3%의 스웨덴은 물론 핀란드(6.9%), 미국(6.04%), 일본(5.96%), 독일(5.04%)을 크게 앞섰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기록한 10.35%는 ‘ICT 제조’가 7.18%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통신’(1.91%)과 ‘소프트웨어(S/W) 및 IT 서비스’(1.26%)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아 경쟁국과 대조를 보였다.

 

우리나라는 2017년 ICT 산업 매출도 전년보다 8.7% 증가했지만 반도체 산업의 성장기여율이 82.8%나 돼 반도체를 제외하면 매출 상승률은 2.2%에 불과했다.

 

국가별 ICT 기업 성과 비교에서도 미국과 한중일 3국이 글로벌 매출의 70% 가량을 차지하는 가운데 미국은 작년까지 꾸준히 35%대의 세계 시장점유율을 유지했고 일본은 11.8%, 중국은 14.3%로 한국(9.7%)을 앞섰다. 우리 기업들은 지난해 영업이익률이 전년보다 6.8%p 증가한 16.2%로 미국 다음으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지만 이는 반도체 업종 호황에 따른 결과였다. 특히 우리 ICT 기업들은 부가가치가 높은 IT 서비스, 소프트웨어, 인터넷 등 서비스 업종의 세계 시장점유율이 5% 미만이었고, IT 서비스와 인터넷의 영업이익률은 전 세계 업종별 평균을 밑돌았다.

 

규모별 분포에서도 한국은 매출 10억 달러 이상 기업의 비율이 3.6%로 미국(22.8%)은 물론 중국(13.0%)과 일본(13.5%)에 크게 못 미쳤다. 또한 매출 100억 달러 이상 기업의 영업이익률이 23.5%인데 비해 1억 달러 이하 기업은 0.3%에 불과해 소수의 주요 대기업이 ICT 산업을 주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과 일본은 매출규모에 관계없이 영업이익률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나 기업 저변이 상대적으로 폭넓었다.

 

2009년 이후 설립된 ICT 신생기업 비중에서도 한국은 12.5%로 미국(27.9%), 중국(27.5%), 일본(15.2%)에 크게 뒤졌으며, 4차 산업혁명 관련 ICT기업 비율(3.9%) 역시 미국(11.1%), 중국(6.8%), 일본(6.3%)보다 낮아 한국 ICT 산업 생태계의 역동성 저하를 시사했다.

 

국제무역연구원 김정균 수석연구원은 “지난해 우리나라의 ICT 산업 호황은 반도체의 영업이익률이 전년의 12.1%에서 23.7%로 급등한 것에 기인하기 때문에 산업 전반의 경쟁력 향상으로 보기 힘들다”고 지적하고, “우리가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ICT 산업 내 주력 업종 다양화 및 관련 서비스업 육성,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 및 성장 사다리 구축 등 ICT 산업의 혁신성과 역동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첨부
무협보도자료-반도체·대기업편중,신생기업부족…‘한국ICT호황’의진실-8월2일(목)조간부터.hwp 무협보고서-주요국의ICT산업성과비교및시사점(무역전략실).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