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경제정보를 자료구분, 자료출처별로 제공합니다.

최근 캄보디아 경제 동향 및 전망(하)
자료구분
동향
출처
관련부서
호치민지부
수집일
2017.03.11
작성일
2017.03.15
원본URL
바로가기
최근 캄보디아 경제 동향 및 전망(하)
 
◎ 건설 및 부동산(Construction and Real Estate)
  o 건설 및 부동산 부문은 섬유·의류 다음으로 캄보디아 경제성장률에 30%를 기여할 정도로 중요한 성장엔진임
 - ‘16년 상반기 철강 수입량이 전년 동기대비 42.4% 증가하며 강한 건설자재 수요가 있음을 보여줌
 - 높은 경제성장과 임금상승에 힘입어, 현대적 고층 주거지와 상업빌딩에 대한 투자자 욕구가 강함
 
 ◎ 관광(Tourism)
  o 관광 부문은 지속 성장하고 있으나, ’16년 상반기 성장률이 다소 주춤하는 모습을 보임
 - 국가별 해외관광객 비중을 살펴보면, 베트남이 19.6%, 중국이 16%, 한국이 8.2%를 차지하고 있고, 태국과 
   라오스가 그 뒤를 따름
 - 캄보디아는 관광산업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앙코르와트 이외 관광지역 개발, 일본, 중국 등과의 직항노선 개설 
   및 비자발급 간소화를 추진 중임
 
 ◎ 농업(Agriculture)
  o ’16년 초기 가뭄이후 기후조건이 좋아져 쌀, 카사바, 옥수수 및 기타 채소 생산량이 증가함
 
   최근 캄보디아 농작물별 재배면적
  단위: 천헥타
2015(1~8월)2016(1~8월)성장률(%) 
쌀1,988.392,256.5813.5
카사바541.28627.8816.0
옥수수53.8869.0328.1
기타 채소23.6925.296.7
콩37.5932.32-14.0

 자료: 세계은행
 
o 캄보디아 정부는 농업개발을 중요 정책으로 정하고, 전문가 파견 등 對농업개발 예산을 점차 증가시키고 있음
   
  ’13년-’16년 GDP 대비 농업 부문 예산 
 
 
 
□ 주요 경제 지표
 
 ◎ 인플레이션(Inflation)
  o 식품가격 인상으로 ’16년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대비 3.2% 증가가 예상됨
 
 ◎ 재정 및 통화 정책(Fiscal and monetary policy)
  o ‘16년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15년 GDP의 20.5%에 달했던 공공지출(Public expense)은 ‘16년 GDP의 21.7%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o 개정 수입관세, 밀수방지 캠페인, 체납금 징수, 징세 공권력 강화 등으로 세금징수율은 ’16년 GDP 대비 18.8%를 
 기록
  o ’16년 상반기 금융부문 신용이 전년 동기대비 26.9%, 민간자금 예금은 전년 동기대비 19.3% 증가하였고, 
 예대율은 97%를 기록
 
 ◎ 무역(Trade)
  o ’16년 수출은 90억 달러를, 수입은 114억 달러를 기록함
 - 수출은 캄보디아 수출의 80%를 차지하는 섬유·의류 및 신발의 수출 호조로 전년대비 9.9% 증가 
 - 수입은 건설 및 소비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9.6% 증가
  o ’16년 경상수지 적자는 ’15년에 비해 0.4% 감소하여 GDP의 10.2%로 전망됨
  o ’16년 상반기 외환보유고는 전년대비 8천만달러 증가한 64억 달러를 기록함
 
 ◎ 외국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o ’16년 FDI는 베트남 등 국가와의 경쟁과 곧 있을 선거의 불확실함으로 전년대비 소폭 감소한 17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對캄보디아 최대 투자국 중국은 섬유·의류 및 숙박에 투자하는 반면, 제2위 투자국인 한국은 건설과 
  부동산 부문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음
 
□ 향후 경제 전망
 
  o 세계은행(World Bank)은 지속적인 섬유·의류 수출 증가와 정부지출 증가에 힘입어 ’17년 캄보디아 GDP 성장률은 
6.9%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 섬유·의류 및 건설부문이 여전히 캄보디아 경제성장을 이끌 것으로 보임. 단, 섬유·의류부문은 제품 다변화 및 
   부가가치 창출 등 경쟁력 확보 노력 여부가 중요할 전망
 - 연결항공(connecting flights) 유치와 정부의 적극적 관광산업정책, 그리고 확장적 재정 및 통화정책도 GDP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보임
 - 하지만, ’17년과 ’18년에 있을 지방 선거와 총선, 건설 및 부동산 경기의 하락, 미국 금리인상 및 글로벌 경기 
   하락 등 다양한 변수가 캄보디아 경제성장의 리스크로 작용할 전망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