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경제정보를 자료구분, 자료출처별로 제공합니다.

[EMinside 2월호]인도 경제 동향 및 뉴스
자료구분
동향
출처
관련부서
전략시장연구팀
수집일
2017.02.11
작성일
2017.02.13
원본URL
바로가기
 
1. EM Watch 
 
 
▶ 2016년 11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5.7% 기록
● 자본재 생산 증가율은 15.0%를 기록하며 13개월 만에 플러스세로 전환
- 자본재(15.0%), 광업(3.9%), 제조업(5.5%), 전력(8.9%), 원자재(4.7%), 중간재(2.7%), 소비재(5.6%), 내구성 소비재(9.8%), 비내구성 소비재(2.9%)의 생산 증가
● 8개 주요 인프라 개발 관련 산업 평균 생산증가율은 4.9%를 기록
- 석탄(6.4%), 석유제품(2.0%), 비료(2.4%), 철강(5.5%), 시멘트(0.5%), 전력(10.2%)의 생산은 증가했으나 원유(-5.3%), 천연가스(-1.7%)의 생산은 감소
 
▶ 지난해 12월 도매물가 상승률(WPI)은 3.4%, 소비자물가 상승률(CPI)은 3.4% 기록
● 도매물가는 제조원가(3.7%), 휘발유 가격(8.5%)의 상승으로 9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상승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4년 11월 이후 가장 낮은 3.4%를 기록
- 모디 정부의 화폐개혁으로 시중에 현금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낮은 인플레이션을 발생시키고 있음
- 특히 식품 관련 소비자물가 상승이 둔화되고 있음(1.4%) 
 
 
 
 
 
▶ 12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5.7%, 수입은 0.5% 각각 증가
● 수출은 239억 달러, 수입은 342억 달러로 무역수지 적자는 103억 달러 기록
- 수출과 수입은 3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늘어났으며 무역수지는 11월(130억 달러)에 비해 적자폭 축소
● 한국과의 무역규모는 최근 3개월간 지속적으로 증가
- 12월 인도의 對한국 수출은 3억5천만 달러, 수입은 11억9천만 달러로 한국과의 무역액은 15억4천만 달러를 기록
- 對한국 수출은 9월 이후 감소세를 보였으나 12월에 전월 보다 늘어났으며 對한국 수입은 전월 대비 지속적으로 증가
 
▶ 11월 서비스 산업의 수출, 수입 모두 증가
● 서비스 산업의 수출,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동반 증가
- 10월 서비스 산업 수출은 1.7% 감소했으나 11월에는 11.0% 증가
- 특히 11월 서비스 산업 수입은 46.4% 늘어나 2016년 서비스 산업 수입 증가율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 
 
 
 
 
 
▶ 인도 정부, 2017~2018 회계연도 예산안 발표
● 2017~2018 회계연도(2017. 4. 1.~2018. 3. 31.) 예산안은 지하경제 양성화를 위한 화폐개혁으로 위축된 경기의 회복에 중점을 둠
- 2016년 11월 전격적으로 단행된 화폐개혁으로 기존 500루피, 1천 루피의 고액권 사용이 금지되어 소비활동이 위축
- 국제통화기금(IMF)은 모디 정부의 화폐개혁 실시 이후 2016~2017 회계연도 경제성장률 예측을 수정하여 재조정(7.6→6.6%)
- 모디 정부는 세금 감면, 인프라 투자 확대를 통해 현금경색으로 발생하는 소비 위축에 대응할 방침
● 소득세율 및 법인세율 감면 시행 예정
- 세율 감면이 시행되면 연소득 3,700~7,400달러 사이 근로자의 소득세율이 10%에서 5%로 낮아지게 됨
- 연매출 750만 달러 이하 기업의 법인세율은 30%에서 25%로 낮아지게 되며 이를 통해 인도 기업의 96%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임
● 농촌지역에 대한 투자가 확대될 전망
- 농촌지역의 도로 건설에 40억1천만 달러, 전력시설 설비에 15억8천만 달러가 각각 사용될 예정
- 실업자 감소를 위한 농촌지역 고용 프로그램에는 사상최대 금액인 7억1천만 달러가 지출될 예정 
 
▶ 2017 인도 식품 포럼(India Food Forum)2)을 통해 식품 산업의 트렌드 공유
● 제10회 인도 식품 포럼이 뭄바이에서 1월 31일부터 2월 2일까지 열려 인도 식품 산업의 전망 및 트렌드에 대해 논의됨
- 현재 인도 소매업 중 절반 이상(57%)을 차지하고 있는 식품산업은 2025년에 현재의 3.5배 규모로 성장할 전망
- 특히 젊은 세대를 주 소비층으로 하는 배달음식 시장과 외국음식 시장의 성장세가 주목됨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식품산업 관련 서비스가 프랜차이즈 업체를 중심으로 다양화되고 있음
● 건강식품(Health-food) 시장은 잠재적으로 높은 성장 가능성을 가진 시장으로 주목됨
- 인도 내에서 웰빙 식품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나 높은 가격으로 인해 관련 수요는 많지 않음
- 인도 소비자들은 음식 구매 시 가격에 민감한 경향이 있어 현재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건강식품이 시장에 공급된다면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임
 
 
 
2. 한-인도 수출입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