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경제정보를 자료구분, 자료출처별로 제공합니다.

금융회사 지배구조법 관련 주요 문의사항에 대한 법령해석집 배포
자료구분
정책
출처
관련부서
금융정책과
수집일
2016.10.15
작성일
2016.10.17
원본URL
바로가기
□ 금융위원회는「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시행(8.1.) 이후 금융회사들로부터 제기된 주요 법령해석 질의사항에 대한 답변(88건)을 모아 금융회사 지배구조법 설명서를 최종 배포함
  
1. 그간의 경과
  
□ 지배구조법 시행 전 금융회사의 이해를 돕고 제도의 원활한 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권역별로 지배구조법 설명회*(7.27~29)를 개최
  
* 지주ㆍ은행ㆍ저축은행(7.27), 보험ㆍ여전(7.28), 금투(7.29)
→ 기취합된 금융회사 주요 건의사항에 대하여 지배구조법 설명서 초안을 배포
  
ㅇ 설명회시 금융회사로부터 해석상 쟁점이 있는 질의가 다수 제기됨에 따라,추가 쟁점사항을 포함한 법령설명서를 추가 배포하기로 함
  
□ 법 시행 이후(8.1~10.11) 금융위ㆍ금감원 합동 법령해석 컨설팅팀을 통해 총 217건의 법령해석 질의를 취합하여 212건을 기회신하였으며,
  
ㅇ 법령해석 자문기구인 법령해석심의위원회를 3차례 개최(9.1, 9.8, 10.12)하여 쟁점이 되는 사항에 대한 해석방침을 마련
 
□ 그간의 논의 결과를 토대로, 법 적용과 관련된 불확실성을 제거하여 금융회사의 부담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주요 문의사항들에 대하여 해석 방침을 확정하여 최종 배포함
2. 주요 해석 사례
 사외이사 과반수 선임 의무가 없는 소규모 금융회사의 경우에도 법 제13조에 따라 이사회 의장을 사외이사 중에서 선임해야 하는지 (설명서 7번)
  
* 법 §13 : 이사회는 매년 사외이사 중에서 이사회 의장을 선임
  
⇒ 사외이사 과반수 선임의무가 없는 금융회사의 경우에는 이사회 의장을 사내이사 중에서 선임해도 됨

  
 동일인이 금융회사와 그 계열사의 사외이사를 겸직하고 있는 경우, 누적 재직기간(6년 제한)을 어떻게 산정하는지 (설명서 12번)
  
* 법 §6 : 해당 금융회사에서 6년 이상, 그 계열회사를 합산하여 9년 이상 사외이사로 재직한 사람은 금융회사의 사외이사로 재직할 수 없음
  
⇒ 사외이사 재직기간을 합산할 때 금융회사와 그 계열회사에서 사외를 겸직한 기간은 중복하여 산입하지 않음*
  
* (예) 동일인이 금융회사와 그 계열회사의 사외이사를 3년 임기로 동일한 시점에 겸직하는 경우, 재직기간은 6년이 아니라 3년으로 기산

 기존 위험관리책임자를 지배구조법상 절차를 갖추어 재선임하는 경우 그 임기는 새로이 2년을 부여해야 하는지 (설명서 75번)
* 법 §25 : 위험관리책임자 및 준법감시인의 임기를 2년 이상으로 함
⇒ 재선임시 기존 임기 개시시점부터 2년을 보장*하면 법상 2년간 임기 보장의무를 준수한 것으로 간주 가능
  
* (예) `16.1.1일 임기를 개시한 위험관리책임자를 `16.10.1일 재선임한 경우 그 임기는 16.1.1~17.12.31일까지 보장

  
 위험관리책임자의 겸직이 금지되는 본질적 업무의 범위에 여신 및 투자심사 업무 등이 포함되는지 여부 (설명서 77번)
  
  
* 법 §29, 영 §24 : 위험관리책임자는 금융회사의 본질적 업무 및 자산운용에 관한 업무 등을 겸직할 수 없음
⇒ 본질적 업무 등이라 하더라도 위험관리책임자의 고유 업무*와 관련이 있는 경우에는 수행 가능
  
* 자산의 운용이나 업무의 수행, 그 밖의 각종 거래에서 발생하는 위험을 점검하고 관리(지배구조법 §28①)
  
ㅇ 다만, 위험관리책임자가 여신심사부서를 직접 관할하거나 최종적인 승인 권한을 갖는 등 이해상충 우려가 큰 경우에는 금지
  
※ 해설서를 통해 겸직 가능한 업무와 불가능한 업무를 최대한 명시하여 배포

  
 금융회사의 내부통제 및 위험관리를 전담하는 조직이 반드시 별개의 2개 부서여야 하는지 (설명서 85번)
  
* 영 §19, 영 §22 : 금융회사는 위험관리책임자와 준법감시인의 업무를 지원하는 전담조직을 두어야 함
⇒ 내부통제 및 위험관리를 전담하는 조직은 반드시 별개의 부서로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내부통제 및 위험관리 업무 수행을 각각 지원하기에 충분한 전담인원을 배속하면 됨
  
* 다만, 내부통제와 위험관리를 겸하는 부서로 이해상충 방지를 위해 다른 본질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부서와는 독립적인 조직체계를 갖출 필요

  
3. 향후 계획
  
□ 지배구조법 법령해석 컨설팅팀(금융위?금감원)을 통해 업계의 추가질의사항에 지속 대응 (~10월말)
  
□ 법 시행 과정에서 개선ㆍ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는 사항들에 대해서는 추후 T/F 등을 통해 법령개정 등 개선방안 검토
  
※ < 별첨 >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설명서
첨부
(보도자료)161014_금융회사지배구조법법령해석집배포.hwp 161014_(별첨)지배구조법주요내용설명서.hwp